C++/News

프로그래밍 언어 C++14 이란? (2014년)

yum-yum_IT 2023. 12. 22.
반응형

안녕하세요.

오늘의 소재는 프로그래밍 언어 C++14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.

 

1. C++14 이란?

 -> C++11의 후속 표준으로, 2014년에 발표되었습니다. 
 -> 이 버전은 C++11에서 제공한 기능들을 개선하고, 새로운 기능들을 추가하여 프로그래머들이 더 편리하게 코드를 작성할 수 있도록 만든 소규모 업데이트입니다.

 

2. C++14 장점은 무엇이 있을까?

 2.1 일반화된 람다 캡처 (Generalized lambda capture) 

 -> C++14에서는 람다 표현식 내에서 새로운 변수를 선언하고 초기화할 수 있게 되었습니다. 이를 통해 람다 외부의 변수를 값으로 복사하거나 객체를 이동시켜서 캡처할 수 있습니다.

일반화된 람다 캡처 (Generalized lambda capture)


 2.2 반환 타입 추론 개선 (Return type deduction)

 -> 함수의 반환 타입을 컴파일러가 자동으로 추론할 수 있게 되었습니다. C++11에서는 람다 표현식에만 적용되었던 이 기능이 C++14에서는 일반 함수에도 적용되어, 'auto' 키워드를 사용하여 반환 타입을 명시하지 않아도 됩니다.

반환 타입 추론 (Return type deduction for functions)


 2.3 이진 리터럴과 숫자 구분자 (Binary literals and digit separators)

 -> C++14는 이진 리터럴을 직접적으로 지원하며, '0b' 혹은 '0B'를 접두어로 사용합니다. 또한, 큰 숫자 리터럴에서 가독성을 높이기 위해 숫자 구분자인 언더스코어('_')를 사용할 수 있습니다.

이진 리터럴과 숫자 구분자 (Binary literals and digit separators)


 2.4 변수 템플릿 (Variable templates)

 -> 변수도 템플릿으로 선언할 수 있게 되어, 타입에 따라 다른 변수를 갖는 것이 가능해졌습니다. 이는 타입 별로 상수나 전역 변수를 쉽게 정의할 수 있게 해줍니다.

변수 템플릿 (Variable templates)


 2.5 강화된 상수 표현식 (Relaxed constexpr restrictions)

 -> 'constexpr' 지정자가 붙은 함수와 객체 생성자에서 할 수 있는 작업이 확장되었습니다. C++11에서 매우 제한적이었던 constexpr 함수가 C++14에서는 더 많은 종류의 복잡한 계산을 수행할 수 있게 되었습니다.

강화된 상수 표현식 (Relaxed constexpr restrictions)

 

 2.6 초기화된 람다 캡처(Init captures)

 -> 이 기능을 통해 람다 표현식에서 외부 변수를 직접 초기화하며 캡처할 수 있습니다. 이것은 람다가 생성될 때의 특정 값을 '스냅샷'하여, 나중에 람다가 호출될 때 이미 변해버린 원본 변수의 값에 의존하지 않도록 합니다. 또한, 이를 통해 복사가 아닌 이동 캡처도 가능해져서 람다가 소유권을 가질 수 있는 리소스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됩니다.

초기화된 람다 캡처(Init captures)


 2.7 제네릭 람다(Generic lambdas)

 -> C++14에서는 람다 매개변수의 타입을 'auto' 키워드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추론하게 할 수 있습니다. 이로 인해, 하나의 람다 표현식이 여러 타입의 인수를 받아들일 수 있게 되어, 함수 템플릿과 유사한 효과를 더 간단한 문법으로 달성할 수 있습니다. 이는 코드의 중복을 줄이고,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.

제네릭 람다(Generic lambdas)

3. C++14 단점은 무엇이 있을까?

 3.1. 학습 곡선 

 -> C++11에 비해 추가된 기능이 많지는 않지만, 여전히 새로운 기능들을 학습해야 하는 부담이 있습니다.


 3.2. 코드 호환성

 ->  C++14의 새로운 기능들은 오래된 컴파일러와 호환되지 않을 수 있으며, 이전 코드 베이스와의 통합에 주의가 필요합니다.


 3.3. 복잡성

C++ 자체의 복잡성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, 이로 인해 프로그래머가 언어의 모든 부분을 완전히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.

반응형

댓글